4월 들어 암호화폐와 미국 증시가 갑작스럽게 반등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 조치 발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오랜 침체 국면 속에서도 패닉셀링 없이 '바이 더 딥(Buy the Dip)' 전략을 유지해온 장기 투자자들은 이번 반등으로 보상을 받은 셈입니다.
하지만 이 반등이 진짜 대세 상승장의 시작일까요? 아니면 일시적 반등에 불과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 관세 유예 조치의 핵심 내용, 시장 반응, 그리고 향후 투자 전략까지 차근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 트럼프의 관세 유예 조치, 시장의 반응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주요 무역국들과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완화시켜, 그간 쌓여 있던 투자 심리를 크게 자극했습니다.
- 나스닥 지수는 하루 만에 12% 급등
- 테슬라 주가는 무려 22.69% 상승
- 애플, 엔비디아, 메타 등 빅테크 대부분이 10% 내외의 강한 반등
**"트럼프 풋"**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트럼프의 정책적 발언 하나가 시장을 좌우하고 있는 셈입니다.
📉 중국과의 갈등은 여전히 진행형
다만, 중국에 대해서는 기존보다 더 강경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중국에 대해서는 상호 관세를 120%로 상향, 전면전을 예고한 셈인데요. 이는 미국이 무역 적자 구조를 해소하고,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은 이 조치가 단기적 반등 요인은 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무역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 금리 인하 기대는 후퇴, 유동성 장세에 제동?
관세 유예 발표 이후, 미국 국채 시장에서도 변화가 감지됐습니다.
-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 수익률: 4.435%
- 강한 입찰 수요 → 안전자산 선호 약화 → 위험자산 회복
하지만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소 후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CME FedWatch Tool에 따르면, 5월 금리 동결 가능성이 인하 가능성보다 우세해졌으며, 연말까지도 최대 1회 인하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온체인 데이터: 롱 홀더는 매수, 숏 홀더는 청산
어제 하루 동안 시장에서는 9,200만 달러 규모의 숏 포지션 청산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상호 관세 유예 소식 이후 급등한 시장 가격에 대응하지 못한 숏 포지션의 손절이 대거 몰렸다는 의미입니다.
🔍 장기 보유자들은 하락장에서 꾸준히 매집했고, 반면 단기 보유자들은 하락장에서 패닉셀링에 나섰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번 반등에서 장기 투자자들이 우위를 점하는 그림이 만들어졌습니다.
📈 기술적 분석: 22일 이동평균선이 관건
비트코인 가격은 83K를 일시적으로 회복한 상황입니다. 현재는 22일 이동평균선을 상단 돌파 테스트 중이며, 성공 시 이 구간이 새로운 지지선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아직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리스크 요인도 존재합니다:
- 52일/202일 이평선 데드크로스
- MACD 하락 지속
- RSI 50선 미돌파
따라서 지금은 상승 흐름이 확정된 구간이 아니라, **"신중한 낙관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고래들의 움직임: 조심스러운 매집 재개
CVD 지표 상으로 고래들은 일부 매도세에서 다시 매수로 전환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간 규모 세력들이 반등을 주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미국 기관 수요(코인베이스 프리미엄)는 아직 본격 회복되지 않음을 감안할 때, 시장이 본격적으로 불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강한 펀더멘탈 트리거가 필요합니다.
🔍 주요 이슈 요약
- 트럼프 관세 유예 → 시장 반등
- 중국은 여전히 고율 관세 → 무역 전쟁 지속
- 금리 인하 기대 후퇴 → 유동성 장세 약화 가능
- 비트코인 롱 포지션 유리, 단기 숏 손절 증가
- 기술적 관점: 22일선, 50/202일선 주시
- 고래 매집 조짐 있지만, 기관 수요 회복은 아직
✅ 마무리: 투자는 예측이 아닌 대응입니다
지금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트럼프의 한 마디에 반등했지만, 여전히 중국과의 무역 긴장, 연준의 금리 정책, 기관 수요 유입 등 여러 변수들이 남아 있는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 그렇기에 예측보다는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자금 여력이 있다면 DCA(분할 매수) 전략 유지
- 보수적이라면 관망하며 주요 구간 돌파 확인 후 진입
- 장기 투자자라면 핵심 구간에서 저가 매수 지속
이러한 전략을 토대로, 지금 이 시장을 긴 호흡으로 바라보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그리고 구독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100억부자미르SIM"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출처 및 참고사항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 출처: 로이터 통신, "Breakingviews: Trump's tariff retreat leaves lasting US scars", 2025년 4월 9일 Cryptoquant+8Reuters+8Reuters+8
- 내용: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역국에 대해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하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하였습니다.
- 미국 증시의 급등
- 출처: 로이터 통신, "Magnificent Seven to add more than $1 trillion in value after Trump pauses some tariffs", 2025년 4월 9일 Reuters+5Reuters+5Reuters+5
- 내용: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 이후, 나스닥 지수는 8% 상승하였으며, 주요 기술주들은 7.8%에서 13%까지 상승하였습니다.Reuters
-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 결과
- 출처: 로이터 통신, "US stocks surge, dollar gains in dramatic relief rally as Trump pauses tariffs", 2025년 4월 9일 Reuters+6Reuters+6Reuters+6
- 내용: 미국 재무부는 39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국채를 발행하였으며, 수익률은 4.328%로 결정되었습니다.
- 온체인 데이터 분석
- 출처: CryptoQuant, "BTC Annual Return Drops Below Gold and Stocks - Another Bear Market or Sign of Market Maturity?", 2025년 4월 7일 Cryptoquant
- 내용: 비트코인의 연간 수익률이 금과 주식보다 낮아졌으며, 이는 시장 성숙도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 차트 분석 지표
- 지표: 22일, 50일, 202일 이동평균선, RSI(상대강도지수), MACD, CVD 등
- 분석 도구: TradingViewCME 그룹 선물 및 옵션 거래+3Cryptoquant+3coinglass+3
- 암호화폐 관련 글로벌 정책 변화
- 출처: 로이터 통신, "US importers, whip-sawed by tariff uncertainty, move to sidelines", 2025년 4월 9일 Reuters+7Reuters+7Reuters+7
- 내용: 파키스탄은 잉여 전력 일부를 비트코인 채굴과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에 할당할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주의사항: 위 정보는 신뢰할 만한 출처를 기반으로 제공되었으나, 시장 상황은 급변할 수 있으므로 투자 시에는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오늘의 재테크 이야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트럼프 풋 반등 후 재하락…145% 관세의 충격과 암호화폐 시장의 대응 (14) | 2025.04.11 |
---|---|
테슬라의 미션 변화와 6월의 역사적 전환점: 왜 지금이 중요한가? (12) | 2025.04.09 |
테슬라 주가 하락 원인 분석 및 전망: 일론 머스크의 숨겨진 계획 (19) | 2025.04.09 |
📉비트코인 급락 후 반등, 그러나 여전히 불확실한 시장…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24) | 2025.04.08 |
“연준보다 무서운 관세!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놓친 변수는?” (11)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