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5월, 드디어 비트코인이 역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한 와중에 기록한 이 강세는 단순한 기술적 돌파가 아닌, 거시적 이슈와 온체인 흐름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이번 시황에서는 비트코인이 신고가를 돌파할 수 있었던 배경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종합적으로 점검해보겠습니다.
📉 미국 증시 급락…비트코인은 왜 상승했나?
최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 추진으로 인한 재정적자 우려로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 국채금리 급등: 20년물은 5.117%, 10년물은 4.6%를 넘었고, 30년물도 5%를 돌파.
- 미국채 신뢰 약화: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이후, 국채 입찰 부진이 이어졌습니다.
👉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비트코인은 리스크 해지 자산으로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비트코인, 자산 순위 세계 5위 등극
- 아마존 시가총액 추월
- IBIT ETF: 연초 이후 90억 달러 순유입, 전체 ETF 순위 47위 → 1위권 진입
💡 비트코인의 구조적 상승은 단순한 투기 수요가 아닌, 기관 자금과 정책 기대감이 만든 결과입니다.
📊 온체인 분석: 아직 과열 아니다
- 121일 만의 신고가
- 선물 미결제 약정 740억 달러, 역대 최고
- 30일/50일 이평선, 100일선 돌파 → 골든 크로스
하지만 과열 구간은 아직 아니다:
- UTXO 수익-손실 비율: 아직 100 이하 수준
- 슈림프 주소 수: 역대 최저 수준 (개인 투자자 유입 아직 미비)
- 거래소 유입량: 작년 대비 82% 감소
📌 이는 아직 대세 상승장의 초입임을 시사합니다.
🔍 주요 정책 호재와 글로벌 흐름
- 스테이블 코인 법안 상원 통과 가능성
- 크립토 차르 데이빗 삭스 “수조 달러 美국채 수요 창출 가능”
- 스테이블 코인 확대 → 비트코인 및 알트 전반 수혜
- 디지털 자산 법안 재발의
- 노드/디파이 개발자에게 기존 금융법 대신 새로운 규제 체계 적용
- 전략자산 채택 움직임
- 美 상원 루미스 “미국인들은 금에서 비트코인으로 넘어갈 준비 됐다”
- 국부펀드 수장들 “미국이 사면 우리도 산다”
- 글로벌 확대
- 파키스탄 디지털 자산청 출범 (250억 달러 시장 목표)
- 반면 독일은 조기 매도 후 3.4조원 손실로 비판받는 중
🔮 기술적 분석과 향후 시나리오
- 현재 가격: 110K → 소폭 조정 후 109.8K 유지
- 지지 구간: 107K / 104.7K
- RSI, 52이평 돌파
- MVRV-G 프라이싱 밴드 상단 도달 전: 125K까지는 무리 없이 가능
💣 청산 히트맵 상으로 105.8K 이하에는 롱 포지션 집중 → 추가 하락 시 반등 가능성도 큼
💡 결론: 지금은 '즐기는 구간'
- 비트코인은 아직 완전한 과열 구간은 아님
- 기관 중심의 조용한 상승세이기에 장기 투자자에게는 유리한 구간
- 반면 단기 트레이더는 과도한 추격 매수보다는 신중함 필요
🟢 ETF, 온체인, 정책 호재가 결합된 구조적 상승 흐름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 참고자료 및 출처
- Glassnode
- LookIntoBitcoin - MVRV-G 모델
- 블룸버그 ETF 리포트
- [백악관 및 루미스 상원의원 발표자료]
- [Coinglass 청산 히트맵]
728x90
반응형
LIST
'오늘의 재테크 이야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트코인 신고가 돌파 이후 조정, 관세와 국채금리가 불러온 시장의 변수들 (8) | 2025.05.26 |
---|---|
🚀비트코인 신고가 돌파! 과연 시장은 과열인가? 아직 기회는 남아있는가? (17) | 2025.05.23 |
📈 비트코인 107K 돌파 전야… 조용한 상승장의 진짜 신호는? (10) | 2025.05.21 |
📈 비트코인, 신용등급 강등에도 상승 지속? ― 주요 시황 분석 (11) | 2025.05.20 |
📈 [비트코인 시황 분석]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도 상승…전고점 테스트 가능성은? (13)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