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재테크 이야기듣기

📈 비트코인, 변곡점 도달…상승세 이어갈까?

100억부자미르SIM 2025. 5. 14. 16:14
728x90
반응형
SMALL

 

 

 

 

 

 

 

 

 

 

 2025년 들어 비트코인 시장은 다시 한번 중요한 변곡점에 도달했습니다. 전날 대비 회복세를 보이며 강한 기술적 반등 구간을 테스트 중인 가운데, 주요 투자 주체들의 움직임과 온체인 데이터에서도 심상치 않은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채굴자, 고래, 단기 보유자들의 활동과 함께, ETF 유입, 상장기업 매수세,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까지 시장 전반의 흐름을 통합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 매크로 환경: 금리·무역 협상·트럼프 압박

 

  • 미 증시는 혼조세 마감
    • 나스닥 +1.6% 상승, 다우 -0.64% 하락
  • 미국 CPI 발표
    • 근원 CPI만 예상치 부합, 대부분 수치는 하회
    • “인플레이션 하락세”로 해석되며 위험자산에 유리한 환경 조성
  • 트럼프 발언 요약
    • “물가 하락, 연준은 금리 인하하라”
    • 파월 의장을 겨냥한 공개 압박

 


 

 

🪙 투자 주체별 움직임 분석

 

1️⃣ 채굴자: 항복 멈추고 회복세

  • NPUP 지표: 0.47
    • 0.5 돌파 시 강한 상승 모멘텀 확인 가능
  • 채굴자 항복 지표
    • 항복 멈추고 매수세 전환 → 작년 상승장 초기 유사 흐름

🔥 *채굴자의 '8% 매수세 증가'*는 회복 시작의 전조입니다.

 

 

 


 

 

2️⃣ 고래들: 일부 매도 전환, 그러나…

  • 10,000 BTC 이상 고래 → 매수 약화
  • 1,000~10,000 BTC 고래는 지속 매집
  • 개인 투자자들 → 지속적인 매도세

📉 대형 고래들은 고점 인식 시 매도를 시작하고, 개인은 그 뒤를 따릅니다.

 

 

 

 


 

 

 

3️⃣ 단기 보유자: 급등세

 

  • 1월 이후 최대 수준 도달
  • 신규 진입자의 매수세 증가
    • 상승 모멘텀과 높은 상관관계

🚀 과거 사이클에서 단기 보유자 급증은 강세장의 시작점과 일치했습니다.

 

 

 


 

 

 

📊 온체인 기술 지표 분석

 

✅ 테이커 바이셀 레이시오

  • 현재 수치: 1.02
  • 역사적으로 전환점 구간에서 형성된 수치
  • 2022년 말, 2023년 10월 등 강세 전환 직전 도달 수치와 유사

✅ 가격 모멘텀 지표 (단기)

  • 강세 모드 진입
  • 과거 사례: 진입 직후 일시적 조정 → 이후 폭발적 상승

⏳ 지금의 조정은 다음 랠리 전의 숨 고르기일 가능성.

 

 

 


 

 

🌀 알트코인 사이클 시동

 

  • 비트코인 대비 알트코인 시총 비율(Total2): 하락 추세선 상향 돌파
  • 알트 시즌 가능성 증가
  • 하지만 아직 포모 유발 구간까지는 도달하지 않음

 

 


 

 

💼 ETF·상장기업·자금 흐름

 

  • 2025년: ETF보다 상장기업의 비트코인 매수가 더욱 활발
    • 157,000 BTC 이상 누적 매입
  • Coinbase 10억 달러 출금
    • 기관·기업의 장기 보유 신호

🏦 ETF 유입+상장기업 매수 → 장기 상승 가능성 뒷받침

 

 

 


 

 

📉 단기 조정 리스크도 존재

 

  • 미결제 약정 680억 달러(사상 최대)
  • 심리 과열 지수 11월 이후 최고
  • CVD 지표: 매도벽 약화 vs 매수세 우위

 

 


 

 

🔮 비트코인 핵심 기술적 구간 정리

 

주요 지지선주요 저항선
103K~104K 104.3K, 전고점 구간
 
  • 이동평균선 상승세 지속
  • RSI 지표 재반등
  • 강한 매물대 돌파 시, 중단기 급등 가능

 

 


 

 

🧩 결론: 대세 상승의 ‘다음 스텝’ 준비 구간

 

  • 지금은 변곡점, ‘마지막 조정 vs 전고점 돌파의 초입’ 사이의 진입로
  • 핵심 지표들이 하나둘 상승 전환을 보이고 있음
  • 강세장에 확신을 가지되, 조정 시 분할매수 전략 병행이 필요

 

 


 

 

📌 요약

 

채굴자 회복, 고래의 구조적 매집
온체인 지표 전환, 테이커 비율 고점
상장기업·ETF 자금 유입
단기 조정 후, 강세 지속 가능성

 

 


 

 

🔎 참고 자료 및 출처

 

  • Glassnode, CryptoQuant 온체인 데이터
  • 코인데스크/코인텔레그래프 보도
  • 미국 노동부 CPI 발표(2025년 4월)
  • Team Draper 인터뷰(코인데스크)
  • CoinMarketCap BTC 프리미엄 데이터
  • 비트와이즈 리서치 보고서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