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시장의 기대와 달리 매파적 기조를 유지하면서 글로벌 자산 시장이 약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나스닥은 장중 4% 이상 하락했고, 엔비디아는 -6.87%를 기록하는 등 빅테크 중심의 급락이 두드러졌습니다.
그런데 비트코인은 의외의 강한 가격 방어력을 보여주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과연 그 배경은 무엇이며, 우리는 이 시장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 파월의 발언 핵심 요약
- 통화정책 변화는 시기상조: QT 중단 논의는 아직 이르며, 준비금은 충분하다는 입장
- 관세 이슈는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음: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 동시 우려
- 시장 기능은 여전히 정상 작동 중이라는 평가
이러한 매파적 입장은 투자 심리를 냉각시키며 위험자산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 그런데 비트코인은 왜 버텼나?
비트코인의 강한 가격 유지에는 파월의 스테이블코인 발언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암호화폐는 점차 주류로 편입되고 있으며, 연준은 스테이블코인 법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의회와 협력 중이다.”
이는 제도권 진입 신호로 해석되며, 비트코인 시장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온체인 분석 – 누가 사고, 누가 팔았나?
- **단기 보유자와 소액 투자자(슈림프)**가 대량 매도
- 고래와 장기 보유자는 매도 없이 물량을 유지
- 채굴자는 운영비 충당을 위해 매도세 증가
즉, 현재의 매도 압력은 공포에 휩싸인 단기 주체들의 반응이며, 고래와 장기 투자자들은 여전히 자산을 지키고 있습니다. 시장 전체 구조는 무너지지 않았다는 시그널입니다.
✅ 거래소 점유율 변화도 눈여겨볼 부분
최근까지 미국 거래소의 점유율은 하락세였지만, 최근 들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강세장 전환 직전에도 나타났던 패턴으로,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신호로 해석됩니다.
바이낸스 파생시장에서도 테이커 매수/매도 비율이 1을 상회하며, 시장에 점차 매수 심리 회복이 나타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 이더리움 약세는 구조적 문제?
- 수수료는 5년 만에 최저 수준(0.618달러)
- 거래량 급감 = 시장 관심도 하락
산티멘트는 **“수수료가 낮을 때가 반등 타이밍”**이라며 낙관론을 제시했지만,
일각에서는 레이어2 확산으로 유동성과 수익이 이탈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 이더리움 생태계는 레이어1-레이어2의 균형 재정립이 관건이며, 팩트라 업그레이드가 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 차트와 전략 포인트 요약
- 비트코인은 84K선에서 지지 테스트 중
- 52일선 돌파 시 골든크로스 가능성 존재
- 중장기 지지선: 82.95K ~ 84.95K
- 하단 이탈 시 75K까지 조정 가능성
시장의 변동성은 낮지만, 디커플링 흐름은 긍정적입니다. 단기 반등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추세 전환 여부에 집중해야 할 시점입니다.
✅ 결론: 지금은 '전략'이 답이다
현재 시장은 불확실성과 기회가 공존하는 구간입니다.
투자자는 다음 두 가지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 추세 전환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분할 매집 전략
- 전환 확인 시에는 돌파 매수로 빠르게 전환
감정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일관된 전략만이 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입니다.
🔍 참고자료
- FOMC 발표 요약 (2025.04)
- CryptoQuant / Glassnode 온체인 지표
- Binance Research, Cointelegraph, Santiment
- Matrixport ETF Flow 분석 리포트
'오늘의 재테크 이야기듣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트코인, 85K 지지와 본격 반등 조건은? (7) | 2025.04.21 |
---|---|
💣 “트럼프의 압박… 파월 해임 시나리오”, 🚀 “대세 상승장의 문턱, 지금 준비할 때!”, 🔥 “비트코인, 금을 따라간다?” (11) | 2025.04.18 |
🧾 2025년 실업급여 제도 개편 요약 (46) | 2025.04.16 |
📌비트코인 대세 상승장의 조건은?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이유 (13) | 2025.04.16 |
💡 이더리움, 과연 희망은 있는가? — 2025년 4월 정밀 진단 (19) | 2025.04.15 |